이 책은 실제로 성공한 시나리오작가들을 인터뷰해서 얻은 자료를 정리한 책이다. 6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열정'에서는 시나리오작가들만의 공통적인 특징과 기술, 시나리오작가가 된 이유를 다룬다. 2부 '창작'에서는 작가들의 작업 환경과 아이디어 방법을 엿볼 수 있다. 3부 '훈련'이 이 책의 핵심이다. 글쓰기 습관과 시간 조절을 비롯한 작가들의 성공 요인을 알려준다. 4부 '스토리기술'에서는 이야기의 갈등과 등장인물의 대사 등 기본 요소를 알려준다. 5부 '마케팅'에서는 작가로서 자신을 판매하는 법에 초점을 맞춘다. 6부 '인내 노력 열정 습작'에서 꿈을 포기하지 않는 인내의 중요성을 짚는다. 총 101가지 습관 중에서 나에게 도움이 되는 습관만 추려보았다.
1. 창조적이고 독창적으로 생각하기
가장 먼저 머맀속에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개발하지 말고, 실제로 아이디어가 독창적인지 조사하라.
독창적인 글을 쓰겠다는 결심과 진부한 것을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의지가 필요하다. (톰 슐먼)
4. 타고난 관찰자 되기 : 끊임없이 생각하고 대화를 엿들어야 한다.
6. 글쓰는 일에 꾸준한 동기 부여하기 : 글을 쓰기 위해 글 쓰는 일을 좋아한다.
7. 자신에게 충분한 재능이 있다고 생각하기: 내 작품을 돈을 주고 사기 전까지 나 자신을 작가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짐 커프)
15. 스스로 가르치기: 글쓰기는 스스로 터득하는 것이다. 작품을 많이 쓰고 매일 써라. 고전 영화를 보고 좋아하는 영화 시나리오를 분석하라. 희곡, 문학, 감독론, 연기, 연출 등 도움이 된다.
20. 적절하게 질문하기 : 만약 ~라면 어떨까? 이것에 관객의 흥미를 끌 만큼 충분히 독특하고 강력한가? 어떤 식으로든 내가 이 아이디어에 감동하였는가?
창작 과정의 4 단계
1단계: 글쓰는 재미 돋우기, 아이디어 키우기, 아이디어 갖고 놀기
2단계: 아이디어 품고 있기
3단계: 글 쓰는 재미 발견하기
4단계: 아이디어 구축하기
26. 이야기에 대한 아웃라인 만들기 : 이야기가 명확해질 때까지 2주 동안 기록. 번호를 매긴다.
글쓰기를 시작하는 것 외에 별다른 선택권이 없다는 것에 더 가깝다. 글쓰기는 스스로 시작될 뿐이다. (에드 솔러먼)
아웃라인을 잡는 데만 3,4개월이 걸린다. 120페이지까지 노트 적는다.
28. 글쓰기에 좋은 공간 마련하기.: 베란다, 공원, 주방, 작업실, 다락방 등
31. 규칙적으로 글쓰기
작가란 무엇인가? 글 쓰는 사람이다.
글쓰기를 계획하는 것은 글쓰기가 아니다.
책을 요약하는 것은 글쓰기가 아니다. 자료를 조사하는 것도 글쓰기가 아니다.
사람들에게 당신이 무엇을 하는지에 대해 얘개하는 것들도 모두 글쓰기가 아니다.
글쓰기는 실제로 글을 쓰는 것이다.
-EL Doctorow
38. 두려움을 극복하고 글쓰기
언제나 어떻게 이것을 더 낫게 만들 수 있을까?라고 생각한다. 가장 어려운 일은 계속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만드는 일이다. 제대로 된 아이디어를 찾기 위해서는 100개의 아이디어를 거쳐야 한다. 그 과정은 아주 많은 생각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작가는 계속해서 글을 쓸 뿐이다. (짐 커프)
41. 동시에 여러 작품 쓰기 : 2,3개의 작품을 개발하고 아웃라인을 잡는 동안 또 다른 작품을 쓴다. 계속해서 다른 작품을 쓰는 것이 첫 번째 시나리오를 다시 고쳐 쓰는 것보다 훨씬 낫다. 되도록이면 각각의 시나리오를 다르게 만들어라.
난 여러 작품을 작업해야 할 때면 오전에 한 작품, 오후에 다른 작품을 작업하거나 아니면 격일이나 격주로 한 작품씩 한다.(에이미 홀든 존스)
43. 글 쓰는 시간 만들기
하루에 2페이지씩, 일주일 5일 동안 글을 쓴다면 10주 동안에 100페이지의 글을 쓰게 될 것이다. (에릭 로스)
45. 목표 정하기: 글을 쓰는 시간이나 하루에 쓰는 원고지의 양이나 씬의 개수 등 무엇이든 간에 꾸준히 일정한 원고량을 생산해 낸다.
50. 글 막힘과 싸우기: 만약 당신이 작가가 되려고 한다면 첫 번째 필수조건은 그냥 글을 쓰는 것이다. 아이디어를 기다리지 마라. 무엇인가를 쓰기 시작하면 아이디어는 반드시 떠오른다. 물을 나오게 하려면 수도꼭지를 돌려야 한다. (루이 라모어) 순서에 관계없이 글을 쓴다.
52. 형편없는 초고 쓰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기: 10~12번 반복해서 고쳐 쓴다.
55. 가장 최상의 작품 만들기: 완성도가 떨어지는 시나리오를 제출하는 것은 위험하다.
58. 좋은 작품과 나쁜 작품 구별하기: 특이하다, 감동시킨다., 지루하지 않다.
59. 재능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사실 알기:
60. 자신의 직감 믿기: 자신을 흥미롭게 만드는 것을 글로 써라. 자신을 흥분시키는 것.
61. 이야기하려는 주제 갖기: 주제를 즐거운 방식으로 사람들에게 들려진다. 할 말이 있기 때문에 글을 쓴다. (에이미 홀든 존스)
63. 드라마와 갈등에 대한 뛰어난 감각 개발하기:
66. 크게 소리 내어 대사 읽기
67. 독자가 당신의 첫 번째 관객이라는 사실 알기
75. 글 쓰는 시간 외에는 혼자 있지 않기
93.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기: 작품을 완성할 것
94. 쉽게 포기하지 않기
101. 습작하고, 습작하고 또 습작하기: 글 쓰는 재주를 습득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 최소 5년~10년.
누군가 나를 진지하게 생각해주기까지 11편의 티브이 대본을 썼으며, 그 후 6편의 작품을 더 쓰고 나서야 좋은 시나리오 한 편을 쓸 수 있었다. (짐 커프)
짐 커프 Jim Kouf
영어와 역사를 전공. 시나리오를 쓰겠다는 일념으로 LA로 왔다. 그림 외판원, 트럭 운전, 보험 조사원으로 일했다. 3년을 고생하고 나서 글 쓰는 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었다.
작품: Stakeout, Miracles, Rush Hour, National Treasure, Taxi
결론은 무조건 쓰라는 것이다. 돈, 명예를 위해서 글을 쓰는 것이 아니라 정말 좋아서 글을 써야 한다. 작품을 시작했으면 반드시 끝내야 한다. 시간이 오래 걸려도 당연하다.